인트로 (Introduction)
대학생이나 졸업생에게 인턴십은 매우 소중한 경험입니다. 인턴십은 실무 경험을 쌓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미래의 경력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때로는 이런 인턴십 경험을 영문이력서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포함시켜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인턴십을 영문이력서에 기재하는 방법, 예시, 팁, 표, 차트 등을 통해 여러분의 인턴십 경험을 돋보이게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인턴십을 기재할 위치 선정하기 (Choosing Where to List Internships)
관련성에 따른 위치 선정 (Placement Based on Relevance)
영문이력서에 인턴십을 어디에 기재할지는 해당 인턴십이 지원하는 직무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인턴십이 지원 직무와 높은 관련성이 있다면, ‘경력 사항 (Work Experience)’ 섹션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인턴십이 지원 직무와 관련성이 적다면 ‘기타 경력 (Other Experience)’ 섹션에 별도로 기재하는 것이 좋겠죠.
최신 인턴십 우선 기재 (Prioritizing Recent Internships)
일반적으로 가장 최근의 인턴십을 먼저 기재하고, 그 다음으로 오래된 인턴십을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채용 담당자에게 여러분의 가장 최신 경험과 기술을 강조할 수 있게 해주죠. 하지만 만약 오래전 인턴십이 지원 직무와 더 관련성이 높다면, 해당 인턴십을 먼저 기재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합니다.
인턴십 기재 방법 (How to List Internships)
회사명, 직책, 근무 기간 포함하기 (Include Company Name, Title, and Dates)
인턴십을 기재할 때는 회사명, 직책, 근무 기간을 명확히 포함시켜야 합니다. 회사명과 직책은 굵은 글씨 (bold) 또는 이탤릭체 (italics)로 강조할 수 있습니다. 근무 기간은 월, 년만 간단히 표기합니다.
example
ABC 기업, 마케팅 인턴, 2022년 6월 – 2022년 8월
ABC Corporation, Marketing Intern, Jun. 2022 – Aug. 2022
주요 업무와 성과 기재 (List Key Responsibilities and Achievements)
각 인턴십 아래에는 수행한 주요 업무와 달성한 성과를 3~4개의 bullet point로 간결하게 정리합니다. 업무를 기술할 때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action verb를 사용하세요. 가능하다면 성과를 수치로 표현하는 것도 좋습니다.
example
“소셜 미디어 캠페인 기획 및 실행으로 팔로워 수 20% 증가”
“Planned and executed social media campaigns, increasing followers by 20%”
“마케팅 자료 제작 및 배포 지원”
“Assisted in creating and distributing marketing materials”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타겟 마케팅 전략 수립”
“Analyzed customer data to develop targeted marketing strategies”
추가 팁 (Additional Tips)
키워드 활용 (Utilize Keywords)
지원하는 직무와 관련된 키워드를 인턴십 기술 시 활용하세요. 이는 여러분의 영문이력서가 ATS (Applicant Tracking System – 지원자 추적 시스템)를 통과하는 데 도움이 되며, 채용 담당자에게 여러분의 경험이 직무와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나 수상 내역 강조 (Highlight Relevant Projects or Awards)
인턴십 중 수행한 프로젝트나 받은 수상 내역이 있다면 별도로 강조해 주세요. 이는 여러분의 성취와 역량을 증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example
“모바일 앱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사용자 수 30% 증가 달성”
“Achieved a 30% increase in user base through a mobile app development project”
“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업 운영 효율성 향상 방안 제안” “
“Proposed strategies for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data analysis”
“2022년 우수 인턴상 수상”
“Received the Outstanding Intern Award in 2022”
“전국 대학생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
“Won the Grand Prize in the National University Student Competition”
“ABC 기업 마케팅 인턴십 중 ‘세일즈 챔피언’ 상 수상”
“Awarded ‘Sales Champion’ during ABC Corporation Marketing Internship”
표나 차트로 시각화 (Visualize with Tables or Charts)
때로는 인턴십 경험을 표나 차트로 시각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영문이력서를 더욱 독특하고 시선을 사로잡게 만들어줍니다.
인턴십 (Internship) | 주요 업무 (Key Responsibilities) |
ABC 기업 마케팅 인턴 (ABC Corp Marketing Intern) | 소셜 미디어 관리, 시장 조사 지원 (Conducted social media management, Assisted with market research) |
XYZ 회사 영업 인턴 (XYZ Company Sales Intern) | 신규 고객 발굴, 제품 데모 진행 (Prospected new clients, Conducted product demos) |
맺음말 (Conclusion)
인턴십은 여러분의 영문이력서를 풍성하게 만들어줄 소중한 경험입니다. 인턴십을 효과적으로 영문이력서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관련성, 업무 내용, 성과 등을 명확히 기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키워드 활용, 표나 차트 사용 등 다양한 팁을 활용한다면 여러분의 인턴십 경험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자주 묻는 질문 (FAQs)
1. 인턴십이 오래전에 진행되었다면 기재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 최근 5년 이내의 인턴십을 기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왜냐하면 오래전 인턴십은 현재의 지원 직무와 관련성이 떨어질 수 있고, 그 동안 업무 환경이나 기술이 많이 변화했을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오래전 인턴십이 현재 지원하는 직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그 경험이 여러분의 경쟁력을 높여준다면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해당 인턴십에서 획득한 스킬이나 지식이 현재에도 유효하다면 더욱 그렇죠.
2. 인턴십 경험이 부족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인턴십 경험이 부족한 것이 문제가 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신입 지원의 경우, 회사에서 인턴십 경험을 필수 조건으로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많거든요.
대신 여러분이 가진 다른 강점을 부각시켜 보세요. 예를 들어 학교 수업 프로젝트에서 리더 역할을 했던 경험, 봉사활동이나 동아리 활동에서 보여준 팀워크와 적극성 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격증이나 수상 경력 등도 여러분의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재료입니다.
3. 유급 인턴십과 무급 인턴십을 구분해서 기재해야 할까요?
대부분의 경우, 유급/무급 여부는 인턴십의 가치를 판단하는 핵심 기준이 되기 어렵습니다. 회사에서도 인턴십 경험 자체와 그 안에서의 성과를 더 중요하게 볼 가능성이 높죠.
하지만 지원하는 회사가 유급 인턴십 경험을 더 가치 있게 여길 것으로 예상된다면, 유급 인턴십을 좀 더 부각시키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영문이력서에서 유급 인턴십을 먼저 기재하고, 업무 내용과 성과를 더 자세히 설명하세요.
그리고 무급 인턴십의 경우, 왜 무급으로 인턴십을 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간략히 덧붙이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합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에서의 경험을 쌓기 위해” 또는 “NGO 활동에 관심이 있어” 등의 설명을 추가하면, 무급 인턴십을 선택한 여러분의 적극성과 열정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4. 인턴십 기간이 짧았다면 기재해야 할까요?
인턴십 기간이 짧았다고 해서 무조건 영문이력서에서 제외할 필요는 없습니다. 경험의 질이 양보다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죠.
짧은 인턴십이라도 여러분이 맡은 업무가 지원 직무와 높은 관련성이 있고, 그 안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냈다면 충분히 기재할 가치가 있습니다. 중요한 건 여러분이 그 짧은 기간 동안 무엇을 경험하고 배웠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다만 인턴십 기간이 극단적으로 짧았다면 (예: 한달 이하), 이를 영문이력서에 포함시키는 게 오히려 부정적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그렇게 짧은 기간에 어떤 의미 있는 경험을 쌓기는 어려웠을 거라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에는 과감히 생략하는 게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5. 같은 회사에서 여러 번 인턴십을 했다면 어떻게 기재해야 할까요?
같은 회사에서 여러 번의 인턴십을 한 경우, 각각의 인턴십을 별도로 기재하되 회사명은 한 번만 쓰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가장 최근 인턴십부터 역순으로 나열하세요.
각 인턴십에서 맡았던 구체적인 업무와 성과를 bullet point로 정리하되, 단순 나열식으로 끝내기보다는 업무 간 연관성이나 발전 과정을 엿볼 수 있게 기술하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the first 인턴십에서 데이터 수집 및 정리를 맡았던 경험이 the second 인턴십에서 데이터 분석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등을 언급할 수 있겠죠.
이렇게 하면 단순히 인턴십을 여러 번 했다는 사실 외에도, 그 과정에서 여러분이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했는지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이런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 있는 인재를 선호하기 마련이니까요.
6. 해외 인턴십 경험은 어떻게 어필할 수 있을까요?
글로벌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는 요즘, 해외 인턴십 경험은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분의 글로벌 마인드셋, 적응력, 다양성에 대한 이해 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되기 때문이죠.
해외 인턴십을 기재할 때는, 단순히 ‘해외’에서 인턴십을 했다는 사실 외에도 그 경험을 통해 어떤 배움을 얻었는지를 부각시키세요. 예를 들어 현지 문화를 이해하고 그에 맞춰 업무 방식을 조정한 경험, 언어 장벽을 극복하고 외국인 동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했던 사례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 인턴십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쌓았다는 점도 강조해 보세요. 이는 추후 해외 파트너사와의 협업이나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 시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해외 인턴십 기업의 이름이 생소할 수 있으므로, 괄호 안에 간단히 기업 설명을 덧붙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독일 Top 3 자동차 부품사)” 같은 설명을 추가하면, 채용 담당자가 기업 규모와 업계 위상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겠죠.
7. 인턴십 경험이 너무 많아 영문이력서 분량이 길어진다면 어떡하죠?
인턴십 경험이 많다는 건 좋은 신호입니다. 하지만 영문이력서가 지나치게 길어진다면, 채용 담당자의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죠. 따라서 영문이력서에 모든 인턴십 경험을 빼곡히 채우기보다는, 전략적으로 취사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지원 직무와의 관련성’입니다. 여러 인턴십 중에서 지원하는 직무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경험 2~3개를 골라 영문이력서에 포함시키세요. 나머지는 면접 시 추가로 언급하거나, 포트폴리오에 별도 페이지를 만들어 소개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겠네요.
또 다른 방법은 유사한 성격의 인턴십을 묶어서 요약하는 것입니다. 마케팅 관련 인턴십만 3~4번 했다면, 개별 사례를 모두 나열하기보다 “다양한 기업에서 소셜 미디어 마케팅, 고객 데이터 분석 등 마케팅 전반의 업무를 경험”한 것처럼 간략하게 정리할 수 있겠죠.
이 외에도 오래전 인턴십, 기간이 매우 짧았던 인턴십, 지원 직무와 무관한 인턴십 등은 과감히 생략하는 게 좋습니다. 채용 담당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만 간결하게 전달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8. 인턴십 경험 없이 신입으로 지원할 때 팁이 있나요?
인턴십 경험이 없어도 신입으로 지원하는 데 문제없습니다. 대신 여러분이 가진 다른 강점을 최대한 어필하는 데 집중하세요.
먼저, 학교 수업 프로젝트나 과제에서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소개해 보세요. 특히 지원 직무와 관련된 프로젝트라면 더할 나위 없겠죠. 프로젝트의 목표, 수행 과정, 결과, 그리고 그 안에서 여러분이 맡은 역할과 기여도를 명확히 기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동아리, 학회, 봉사활동 등 교내외 활동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 단순히 활동 내역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각 활동에서 발휘한 리더십, 팀워크,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구체적 사례와 함께 보여주세요.
아르바이트 경험도 소홀히 하지 마세요. 인턴십과 달리 아르바이트는 경험의 질보다 양, 즉 얼마나 오랫동안 성실히 근무했는지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장기간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학업을 지속했다’는 사실은 여러분의 성실성과 시간 관리 능력을 증명하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공모전 수상 경력, 자격증, 어학 능력 등 여러분만의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는 요소들을 적극 발굴하세요. 그리고 이런 경험들을 통해 지원 직무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여러분의 성장 가능성은 어떨지 등을 커버레터나 자기소개서에 연결지어 설명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거예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인턴십이 전부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유니레쥬메 영문이려서 샘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