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로 (Introduction)
취업 준비생이라면 누구나 “영문이력서에 취미를 써야 할까?” 라는 고민을 합니다. 취미가 개성을 어필할 기회라는 의견과, 전문성을 해치거나 편견을 줄 수 있다는 조언 사이에서 망설이게 되죠. 영문이력서의 모든 항목은 전략적 도구이며, 취미란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당신의 이력서는 경쟁자들 사이에서 돋보일 수도, 혹은 부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도 있습니다.
본 포스트는 취미 기재의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기재 시 합격률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신입부터 경력직까지, 이 전략을 통해 취업 성공의 문을 열어보시길 바랍니다.
취미 기재, 합격 시그널이 될 수 있다: 3가지 장점
취미 및 관심사 항목은 단순한 개인 정보 나열을 넘어, 지원자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전략적으로 잘 활용한다면, 다른 항목에서는 보여주기 힘든 당신만의 매력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1. 인간적인 면모 부각 및 긍정적 첫인상 형성
영문이력서는 보통 학력, 경력, 자격증 등 딱딱한 정보들로 채워지기 쉽습니다. 이때 잘 선택된 취미는 당신에게 인간적인 숨결을 불어넣어 줍니다. 채용 담당자는 당신을 단순한 ‘스펙’의 집합체가 아닌,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 예시 (Example):마케팅 직무에 지원하면서 취미로 ‘여행 사진 촬영 및 여행 블로그 운영’을 기재했다고 상상해 보세요. 이는 단순히 여행을 좋아한다는 것을 넘어,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 콘텐츠 기획 및 제작 능력, 그리고 꾸준함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채용 담당자는 당신을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사람으로 기억할 것입니다
2. 기업 문화와의 적합성 어필
최근 많은 기업들은 지원자의 직무 역량만큼이나 조직 문화에 잘 융화될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당신의 취미는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나 문화와 얼마나 잘 맞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단서가 됩니다.
- 예시 (Example):수평적이고 협업을 중시하는 스타트업에 지원할 경우, ‘팀 스포츠(농구, 축구 등)’나 ‘밴드 활동’과 같은 취미는 당신이 팀워크와 소통에 능숙한 사람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냅니다. 반면, 개인의 집중력과 꾸준함이 중요한 연구 개발 직무라면 ‘마라톤’, ‘등산’, ‘코딩 챌린지 참여’ 등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3. 소프트 스킬 및 잠재 역량 증명
취미 활동은 리더십, 문제 해결 능력, 창의력, 끈기 등 업무에 필수적인 소프트 스킬(Soft Skills)을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훌륭한 수단입니다. 특히 사회 초년생이나 직무 관련 경력이 부족한 신입 지원자에게는 더욱 강력한 어필 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 경험담
“신입사원 면접에서 한 지원자가 취미로 ‘방 탈출 게임 동호회 운영’을 적었습니다. 처음에는 그저 독특한 취미라고 생각했죠. 하지만 관련 질문을 통해 그가 어떻게 팀원들의 역할을 분배하고, 제한된 시간 안에 단서를 조합해 문제를 해결하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그의 이야기 속에서 뛰어난 문제 해결 능력과 리더십을 엿볼 수 있었고, 이는 그를 최종 합격으로 이끈 결정적인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During a new hire interview, one applicant listed ‘managing an escape room game club’ as a hobby. At first, I just thought it was a unique hobby. However, I was deeply impressed as he logically explained how he assigned roles to team members and solved problems by combining clues within a limited time. I could see his excellent problem-solving skills and leadership in his story, and this was one of the decisive factors that led to his final acceptance.)
취미 기재의 장점 요약표 (Summary Table of Pros for Including Hobbies)
장점 | 설명 | 기대 효과 |
인간미 어필 | 딱딱한 스펙을 넘어 지원자의 개성과 열정을 보여줌 | 긍정적이고 기억에 남는 첫인상 형성 |
기업 문화 적합성 | 지원자가 조직에 잘 융화될 수 있음을 시사함 | 조직 적응력에 대한 신뢰도 상승 |
소프트 스킬 증명 | 리더십, 협업 능력, 끈기 등 잠재 역량을 간접적으로 보여줌 | 직무 관련 경험 부족을 보완하고 잠재력 어필 |
대화의 시작점 | 면접 시 자연스러운 아이스브레이킹 및 대화 유도 |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자신을 더 잘 표현할 기회 확보 |
영문이력서에 취미와 관심사를 포함해야 할까?: 단점
물론 취미를 기재하는 것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으면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1. 전문성 저해 및 가벼운 인상
너무 사적이거나 직무와 전혀 관련 없는 취미, 혹은 ‘게임’, ‘음주’와 같이 부정적으로 비칠 수 있는 취미는 당신의 전문적인 이미지를 훼손할 수 있습니다. 채용 담당자는 당신이 업무에 진지하게 임하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편견 및 차별의 위험
특정 종교, 정치적 성향, 혹은 고비용이 드는 취미(예: 골프, 요트) 등은 채용 담당자에게 의도치 않은 선입견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이는 지원자의 역량과는 무관한 차별적인 평가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채용의 공정성을 위해 블라인드 채용(Blind recruitment)이 확대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는 정보는 피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3. 귀중한 공간 낭비
영문이력서는 보통 1~2페이지 내외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한정된 공간에 자신의 핵심 역량을 최대한 담아내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음악 감상’, ‘영화 보기’처럼 차별점 없는 취미를 적는 것은, 당신의 결정적인 성과나 프로젝트 경험을 보여줄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단순한 공간 낭비를 넘어 ‘기회비용’의 문제입니다. 그 공간에 직무 관련 프로젝트 경험이나 성과를 한 줄 더 적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취미 기재의 단점 요약표 (Summary Table of Cons for Including Hobbies)
단점 | 설명 | 발생 가능한 문제 |
전문성 저해 | 너무 가볍거나 부정적으로 비칠 수 있는 취미 기재 | 지원자의 진지함과 업무 집중도에 대한 의구심 유발 |
편견 유발 | 종교, 정치 등 민감하거나 호불호가 갈리는 취미 | 역량 외적인 요소로 인한 불공정한 평가 및 차별 |
공간 낭비 | 직무와 무관하고 평범한 취미를 나열하는 경우 | 핵심 역량을 어필할 수 있는 기회 상실 |
진부함 | ‘독서’, ‘음악 감상’ 등 너무 흔한 취미 | 다른 지원자와의 차별성 부각 실 |
어떤 취미를,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그렇다면 어떤 취미를, 어떻게 작성해야 단점은 피하고 장점은 극대화할 수 있을까요? 핵심은 ‘선택’과 ‘포장’에 있습니다.

1. 직무 및 기업과 관련된 취미 선택하기
가장 먼저 지원하는 직무와 기업의 특성을 분석해야 합니다. 당신의 취미가 해당 직무에 필요한 역량이나 기업 문화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고민하세요.
- 개발자 (Developer): 개인 프로젝트, 오픈 소스 기여, 코딩 챌린지, 기술 블로그 운영
- 디자이너 (Designer): 드로잉, 사진, 전시회 관람, 개인 브랜딩 프로젝트
- 마케터 (Marketer):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트렌드 분석, 카피라이팅 연습, 영상 편집
- 영업 (Sales): 운동 동호회 활동, 토론 스터디, 네트워킹 모임 참여
2. 구체적이고 성과 중심으로 서술하기
단순히 취미를 나열하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구체적인 활동 내용이나 성과를 함께 제시하여 신뢰도를 높여야 합니다.
취미 기재의 단점 요약표 (Summary Table of Cons for Including Hobbies)
수정 전 | 수정 후 | 어필 포인트 |
독서 | 매월 2권 이상의 IT 전문 서적을 읽고, 비판적 분석을 담은 서평을 기술 블로그에 연재. ‘개발자를 위한 클린 아키텍처’ 서평, 1만 조회수 및 50개 이상의 댓글 토론 유도. (Publishing book reviews with critical analysis on a tech blog after reading 2+ IT professional books monthly. The review for ‘Clean Architecture for Developers’ generated 10k views and sparked over 50 comment discussions.) | 학습 능력, 분석력, 꾸준함, 정보 공유 능력 |
등산 | 매주 주말 등산 동호회 리더로 활동하며, 20명 규모의 정기 산행 코스 및 안전 계획 수립 (Acting as a leader of a weekend hiking club, planning routes and safety for regular hikes with 20 members) | 리더십, 계획성, 책임감, 소통 능력 |
마라톤 | 1년간의 꾸준한 훈련을 통해 하프 마라톤 2회 완주 (1:50:23 기록) (Completed two half marathons (record: 1:50:23) through a year of consistent training) | 목표 설정, 끈기, 인내심, 자기 관리 능력 |
맺음말 (Conclusion)
결론적으로, ‘영문이력서에 취미와 관심사를 포함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그것은 지원하는 기업의 문화, 직무의 특성, 그리고 당신이 가진 취미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전략적인 선택의 문제입니다.
무심코 적은 취미 한 줄이 당신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고, 신중하게 선택하고 포장한 취미는 당신을 합격으로 이끄는 결정적인 한 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영문이력서의 취미 및 관심사 항목을 단순히 비워두기 아쉬운 공간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대신, 자신만의 색깔과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는 또 하나의 ‘기회의 장’으로 인식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이제 당신의 영문이력서를 펼쳐볼 시간입니다. 그곳에 적힌 취미는 당신이라는 ‘사람’의 매력을 더하는 화룡점정입니까, 아니면 잘 차려진 상차림의 옥에 티입니까? 이 질문에 자신 있게 ‘화룡점정’이라고 답할 수 있을 때, 당신의 취미는 더 이상 부가 항목이 아닌, 합격을 결정짓는 핵심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FAQs)
Q1: 신입 지원자도 취미를 써야 하나요?
A1: 네, 특히 신입 지원자에게는 취미 항목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직무 관련 경력이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자신의 잠재적인 소프트 스킬, 열정, 그리고 조직 적합성을 어필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직무와 연결할 수 있는 취미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너무 평범한 취미는 쓰지 않는 것이 좋을까요?
A2: ‘음악 감상’이나 ‘영화 보기’처럼 너무 일반적인 취미는 차별성을 주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를 구체화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매주 독립 영화를 보고 평론을 작성하는 블로그 운영’처럼 자신만의 특별한 활동을 덧붙이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Q3: 취미가 여러 개일 경우 몇 개를 쓰는 것이 적당한가요?
A3: 너무 많이 나열하는 것은 산만해 보일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직무와 가장 관련성이 높고, 자신의 강점을 잘 보여줄 수 있는 1~3개의 취미를 선택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양보다는 질에 집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Q4: 면접에서 취미에 대해 질문받으면 어떻게 대답해야 하나요?
A4: 영문이력서에 쓴 내용을 바탕으로, 해당 취미 활동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느꼈는지, 그리고 그것이 지원한 직무나 회사 생활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연결하여 설명해야 합니다. 단순한 활동 설명을 넘어 자신의 성장과 역량을 보여주는 기회로 삼으세요.
Q5: 비용이 많이 드는 취미는 부정적으로 보일까요?
A5: ‘골프’, ‘승마’, ‘요트’ 등 고비용 취미는 위화감을 조성하거나 지원자의 배경에 대한 편견을 유발할 수 있어 기재 시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특히 해당 취미가 직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면, 굳이 언급하지 않는 편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유니레쥬메 영문이려서 샘플







